부동산 세금, 부동산을 매도할 때 양도소득세, 양도세를 내야 한다
부동산에서 좌충우돌하고 있는 박이사에요~~ ^^ 이번엔 부동산을 매도함으로 인해 발생한 차익에 대해서 내는 세금인 부동산 양도소득세, 양도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. 이익을 냈으니 그 이익에 대한 세금을 내는 건데요, 세율이 꽤 높아 내는 것이 아까울 수도 있습니다. 많이 낼수록 많이 번거니,, 뭐,, 행복한 고민이죠~~ 저는 부동산에 대한 양도소득세가 공부 목적이니 부동산에 국한해서 정리해볼께요~ 양도소득세란? 토지, 건물 등 부동산의 양도, 분양권과 같은 부동산에 관한 권리를 양도함으로 발생하는 이익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이에요. 취득일로부터 양도일까지 보유기간 동안 발생된 이익에 대해 과세를 하는데요, 만약 소득이 발생하지 않았거나 오히려 손해가 난 경우에는 내지 않아요. 양도소득세 과세대상 양도소..
2021. 10. 27.
부동산 세금, 보유할 때 내는 세금인 재산세는 얼마나 낼까요?
부동산에서 좌충우돌하고 있는 박이사에요~~ ^^ 부동산과 관련된 세금, 첫번째는 취득했을 때 내는 취득세였죠? 오늘은 두번째, 취득 후 보유에 대한 세금을 알아보겠습니다. 부동산을 보유한 것에 대한 세금에는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가 있어요. 그 중에서 먼저 재산세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재산세란? 재산세는 일정한 재산에 대하여 부과되는 조세 라고 백과사전에 나와 있는데요. 토지, 건축물, 주택, 선박 및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면 과세를 한답니다. 저희는 부동산 관련 세금이니 내가 토지, 건축물,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면 재산세를 내야 하는 거죠. 재산세는 어디에 내야 하냐면요~~ 지방세라 재산(주택, 건물, 토지)의 소재지인 시, 군에 납세를 합니다. 재산세를 납부하여야 하는 납세..
2021. 10. 21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