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동산에서 좌충우돌하고 있는 박이사에요~~ ^^
부동산과 관련된 세금, 첫번째는 취득했을 때 내는 취득세였죠?
오늘은 두번째, 취득 후 보유에 대한 세금을 알아보겠습니다.
부동산을 보유한 것에 대한 세금에는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가 있어요.
그 중에서 먼저 재산세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재산세란?
재산세는 일정한 재산에 대하여 부과되는 조세 라고 백과사전에 나와 있는데요.
토지, 건축물, 주택, 선박 및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면 과세를 한답니다.
저희는 부동산 관련 세금이니 내가 토지, 건축물,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면 재산세를 내야 하는 거죠.
재산세는 어디에 내야 하냐면요~~
지방세라 재산(주택, 건물, 토지)의 소재지인 시, 군에 납세를 합니다.
재산세를 납부하여야 하는 납세자는요~~
과세기준일 6월 1일 현재 재산을 소유하고 있는 자에요.
재산세 과세표준?
취득세와 마찬가지로 제산세도 구간에 따라 세율이 있는데요~~
세율을 말씀드리기 전에 과세표준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.
' 과세표준 = 시가표준액 X 공정시장가액비율 ' 이에요.
토지와 건축물, 주택 각각 다른데요~
과세표준을 보면요~
토지 ㅣ 공시지가 x 면적 x 70%
건축물 ㅣ 시가표준액 x 70%
주택 (부속토지포함) ㅣ 주택공시가격 x 60%
재산세율?
이제 내 재산에 대한 과세 표준이 나왔죠?
그러면 어떤 구간에 속하는지 보고 거기에 맞는 세율을 보면 되는데요~
주택과 건축물, 토지로 나뉘는데요,
토지는 또다시 종합합산대상, 별도합산대상, 분리과세대상 구분이 있어요.
구분별로 세율을 보겠습니다.
*** 주택(건물 + 부속토지), 건축물 ***
주택 | 세율 | 건축물 | 세율 | |
6천만원 이하 | 0.1% | 골프장 | 4% | |
6천만원 초과 1억5천만원 이하 | 6만원 + 6천만원 초과금액의 0.15% |
고급오락장 | 4% | |
1억5천만원 초과 3억원 이하 | 19만5천원 + 1억5천만원 초과금액의 0.25% |
주거지역 등의 공장 | 0.5% | |
3억원 초과 | 57만원 + 3억원 초과금액의 0.4% |
기타 건축물 | 0.25% |
*** 토지 ***
1. 종합합산대상 (별도합산과세대상과 분리과세대상을 제외한 토지)
과세표준 | 세율 |
5천만원 이하 | 0.2% |
5천만원 초과 1억원 이하 | 10만원 + 5천만원 초과금액의 0.3% |
1억원 초과 | 25만원 + 1억원 초과금액의 0.5% |
2. 별도합산대상 (공장용, 건축물 부속토지 및 경제활동에 활용되는 토지)
과세표준 | 세율 |
2억원 이하 | 0.2% |
2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| 40만원 + 2억원 초과금액의 0.3% |
10억원 초과 | 280만원 + 10억원 초과금액의 0.4% |
3. 분리과세대상 (공장용지, 전·답·과·목장용지 및 골프장용 토지 등)
과세표준 | 세율 |
전·답·과수원·목장용지 및 임야 | 0.07% |
회원제 골프장 고급오락장용 건축물의 토지 | 4% |
그 밖의 토지 | 0.2% |
재산세 납부기간
어떤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느냐에 따라 납부기간이 조금씩 다른데요~~
이것도 표로 보는 게 편할 것 같아요~~^^
구분 | 납기 | 비고 | |
토지 | 매년 9.16. ~ 9.30. | ||
건축물 | 매년 7.16. ~ 7.31. | ||
주택 | 제1기분 | 매년 7.16. ~ 7.31. | 세액이 20만원 이하인 경우 1기에 일시납 |
제2기분 | 매년 9.16. ~ 9.30. |
재산세 미리 계산해보기
재산세는 저번 포스팅의 취득세 계산하는 곳과 좀 다른데요,,
저번 취득세는 위택스에서 계산이 가능했는데,
재산세는 거기에 없어요.
대략적인 계산기를 알려드릴게요~~
서울시에서 하는 거라,, 아마 다른 지역은 다를 수 있어요.
https://etax.seoul.go.kr/PrptyCalcAction.view?gnb_id=0610&lnb_id=0610&gl_gubun=l
요기 들어가시면 계산하실 수 있어요~
제일 정확한 건 해당 시, 군에 전화해보시면 됩니당~^^
지난 시간에는 부동산을 취득했을 때 내야 하는 취득세,
이번엔 보유할 때 내야 하는 재산세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
다음엔 역시 보유세인 종합부동산세, 종부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'부동산 공부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동산 세금, 부동산을 매도할 때 양도소득세, 양도세를 내야 한다 (0) | 2021.10.27 |
---|---|
부동산 세금, 부동산을 보유할 경우 내는 종합부동산세, 종부세란 (0) | 2021.10.22 |
부동산 세금 취득세란 무엇일까요? (0) | 2021.10.20 |
일반임대사업자와 주택임대사업자 차이점 (2) | 2021.10.19 |
부동산 임대사업에서 포괄양도양수계약이 필요한 이유 (0) | 2021.10.1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