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부동산 공부공부

헷갈리는 부동산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차이는

by 대한부동산 박이사 2021. 10. 12.

 

 

부동산에서 좌충우돌하고 있는 박이사에요~~ ^^

부동산 매물을 보다 보면 헷갈리는 게 있어요~

면적이 하나가 아니고 계약면적, 전용면적, 공급면적 요런 식으로 너무 많은 거예요~

도대체 이게 뭔지.. ㅡ.ㅡ

아니~~ 소비자들을 왜 그렇게 헷갈리게 하는 건지요~~

그래서!!

제가 공부 좀 해봤어요~~^^

복부인이 되려면 이런 사소한(??) 것들도 알아야죠~~

전용면적, 공급면적, 계약면적을 자세히 설명드릴게요~

​면적에 대한 부분이 주거공간 아파트와 사무공간인 사무실이 좀 달라요~~~

 

주거공간, 아파트를 먼저 따져볼게요~~^^

보통 부동산 정보를 찾아보면 요렇게 나와요~~

'공급/전용면적' 이라고 보이시죠?

자~~ 설명 들어갑니다~~~^^

 

1. 전용면적이란?

전용면적은 내가 실제로 사용 가능한 집의 공간이에요.

현관문을 열고 들어갔을 때의 공간, 진짜 우리집 공간이죠.

침실, 거실, 주방, 화장실 등을 말하는 거예요.

쉽죠~~? ^^

 

2. 공급면적이란?

공급면적은 위에서 말한 전용면적에 주거공용면적을 포함한 면적인데요~

주거공용면적은 집안 공간이 아닌 엘리베이터, 복도, 계단 등 공동으로 사용하는 면적이에요.

이 주거공용면적을 전용면적 비율로 나눠서 각 세대별로 부여하는 거예요.

즉,

공급면적 = 전용면적 + 주거공용면적 (공용면적은 각 세대 전용면적 비율대로 나눠서 합칩니다~)

 

3. 계약면적이란?

계약면적은 아파트를 분양할 때 쓰는 주택공급면적인데요~

위의 공급면적에 경비실, 노인정, 기계실, 관리실, 주민 공동시설, 보육시설 등 주민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간과 지하주차장 등을 합친 면적이에요.

역시 이 공간도 합칠 때 각 세대의 '전용면적 비율' 대로 나눠서 합쳐야 해요~

즉,

계약면적 = 공급면적(전용면적 + 주거공용면적) + 그 외 공용면적 이에요~

(이때, 마찬가지로 공용면적들은 각 세대 전용면적 비율대로 나눠서 합칩니다~)

이해가 좀 가셨죠??

최대한 쉽게 푼다고 했는데 어려우시면 댓글 남겨주세요~ ㅎㅎ

 

 


사무공간 사무실은요~~^^

 

 

요긴 계약면적과 전용면적이 나오네요~^^

사무공간 사무실에서는 주거공간 아파트와 좀 달라요~

1. 전용면적이란?

사무공간 사무실에서 전용면적은 출입문을 기준으로 생각하시면 돼요.

사무실 안에 들어갔는데 화장실이 있다~ 면 화장실 포함!

만약 출입문 밖에 화장실이 있다~ 면 화장실과 복도 계단을 제외한 온전한 사무실 면적이에요.

물론 이건 법적으로 정해진 건 아닌데요,,

일반적으로 출입문을 기준으로 안에 있으면 주거처럼 포함,

밖에 있으면 공용면적으로 빠지는 거예요~

2. 계약면적이란?

사무공간 사무실의 계약면적은

위의 전용면적에 외부에 있는 화장실, 계단, 그 외 기계실, 관리실, 지하주차장 등 공용면적을 합친 면적이에요.

이 공간도 역시 합칠 때 각 사무실의 '전용면적 비율' 대로 나눠서 합쳐야 해요~

즉, 계약면적 = 전용면적 + 공용면적 이에요~

(이때, 공용면적들은 각 사무실 전용면적 비율대로 나눠서 합칩니다~)

 

이러한 면적 계산법 때문에

오피스텔의 경우 계약면적과 전용면적 차이가 많은데요~~

계약면적이 큰데 전용면적은 작다~~

그러면 공용으로 사용하는 면적이 크다는 거예요.

그러니 잘 따져서 들어가셔야겠죠?

그리고,, 공용면적이 크면 관리비도 크답니다~ ㅋ

어때요? 조금 이해 가셨나요?

저도 처음엔 어려웠는데요,,,

출입문 기준으로 생각했더니 쉽네요~~^^

 

 

이상 복부인되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박이사의 면적 공부였습니당~~

댓글